
1. 과메기란 과메기는 주로 청어나 꽁치를 반건조한 발효 식품이다. 역사적으로 과메기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으나, 1809년 살림 및 요리책인 규합총서에서 관목이 언급되었고 여지도서에서 영일형의 산물이 청어이며 공물로 관목을 바쳤다는 기록이 있다. 여기서 관목이 후에 과메기, 과메기가 되었다고 짐작된다. 회나 구이로 먹고 남은 것을 새끼줄로 엮어 바닷가나 부엌에 내장과 등뼈를 제거하지 않은 채로 보관하여 먹었다. 1960년대 이후 꽁치가 많이 잡히자 주로 꽁치로 과메기를 만들었다. 포항, 영덕, 구룡포의 향토 음식이었던 과메기가 다른 지역으로 알려진 건 진공 포장과 운송 방법이 개발되고 과메기의 영양가가 알려진 1990년대 이후이다. 과메기의 재료가 되는 등푸른생선은 불포화 지방산인 DHA와 EPA가..

1. 가리비란 가리비는 얕은 바다에 서식하는 바닷물조개로, 떄로는 모래나 자갈 속에서 무더기로 발견된다. 가리비(영어: scallop)는 껍데기가 부채 모양으로 부챗살 같은 골이 파인 이매패류이다. 이미패강 연체동물에 속하는 무척추동물로 기본적으로 두 장으로 나뉜 패각을 가진다. 패각의 길이는 2~2.5cm이며, 껍데기 색은 붉은색, 묽은 주황색, 노란색, 보라색 등이다. 가리비의 껍데기는 부채처럼 생겼으며 표면에는 골판지처럼 골이 있다. 껍데기를 여닫으면서 몸에 담아 두었던 물을 뒤로 보내며 힘차게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 가리비는 여닫는 힘이 아주 세고, 껍데기를 크게 벌리고 먹이를 찾아다니는데, 불가사리 같은 적을 만나면 껍데기를 여닫으면서 재빨리 달아난다. 그리고 껍데기 안쪽을 자세히 보면 눈이 ..

1. 유자란 유자는 귤속의 잡종 재배식물로, 의창지(C. cavaleriei)와 감귤나무(C. reticula ta) 간의 자연 교잡을 통해 생겨났다. 유자나무(柚子--)는 운향과의 과일나무(상록 활엽 관목)다. 열매인 유자(柚子)를 식용한다. 유자의 원산지는 중국의 양쯔강 상류로서 쓰촨성, 후베이성, 윈난성 및 티베트 등지에 야생하고 있으며 한국에는 신라시대에 전해 내려왔고, 제주도를 포함하여 고창, 거창, 완도, 장흥, 강진, 거제 및 남해 등의 남해안에 걸쳐 재배되어 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유자는 귤 속 식물 가운데서는 내병성과 추위(내한성)에 강해, 영하 9도까지의 추위에 견딜 수 있다. 유자는 신맛과 향기가 강한 편이고 열매는 크고 껍질은 울퉁불퉁하다. 일반적으로 직경은 5.5cm에서 7.5..

1. 배추란 배추(←상고 한어 :白菜 [beak tshə])는 순무의 재배종으로 숭채(菘菜)라고도 하며, 밭에서 재배하는 두해살이 잎줄기채소다. 배추는 500년 역사를 통하여 김장용으로 한국 채소의 왕좌를 차지하며 특히 개성보쌈김치용의 개성배추는 재래고추와 함께 최고의 품질을 자랑한다고 하였다. 배추는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는 저온성 채소로서 생육 기간은 50~90일이다. 과거에는 가을에만 재배되었으나 근래에는 봄철 하우스 재배 및 여름철 고랭지 재배도 시행되고 있다. 온도가 천천히 내려갈 때는 영하 8°C까지 견디나 갑자기 추워지면 영하 3~4°C에서 동해를 입는다. 배추는 극한 저온에서는 성장이 더디기 때문에 대한민국에서 대부분 적도에 가까운 전라도와 같은 남부 지방에서 자라지만, 결구기에는 밤낮의 기..

1. 늙은호박이란 늙은 호박은 맷돌 호박 또는 청둥호박이라고도 불리는데 늙은호박은 한식에서 사용하는 늙어서 겉이 굳고 씨가 잘 여문 호박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겨울 호박으로, 봄에 심어 가을에 수확한다. 늙은 호박은 산후 부기를 제거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어 아기를 낳으면 늙은 호박을 고아 호박 물을 마신다. 2. 늙은 호박 제철 시기와 칼로리, 유사 음식 늙은 호박의 제철 시기는 10~12월이다. 위에 언급했든 우리나라는 봄에 심어 가을에 수확한다. 칼로리는 100g 27kcal로 칼로리가 매우 낮다. 늙은 호박의 유사 음식으로는 단호박이 있다. 단호박은 늙은 호박보다 단맛이 더 싶으며, 겉모양은 짙은 초록을 띠고 있어 늙은 호박과 구분이 된다. 3. 늙은 호박 구입법 늙은 호박을 구입할 때는 크기가 매..

1. 전복이란 전복은 연체동물로 전복목, 전복과(Haliotidae), 전복 속(Haliotis)의 총칭이며, 귀 조개라고도 한다. 전복은 암초가 많은 수역에서 서식하기 때문에 외해의 도시나 육지에서 가까운 암석이 튀어나온 수역으로서 해수가 깨끗하고 갈조류가 많은 곳에서 자란다. 전복은 넓적한 근육성 발이 있어 바위에 붙어 치설로 식물을 갉아 먹으면서 산다. 몸길이는 2~30cm이며, 모양은 긴 타원형이다. 전복의 발은 크고 넓으며, 머리에는 더듬이 한 쌍과 눈이 있다. 전복은 암수딴몸이지만 외부 생식기는 발달하지 못했다. 그러나 생식선이 황백색인 것이 수컷이고 녹색인 것이 암컷이다. 2. 전복 제철 시기와 칼로리 전복은 바다의 명품으로 8월에서 10월 사이가 가장 제철이며 100g당 79kcal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