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게 란 게는 갑각류 십각목 가운데 단미 하목에 속하는 생물을 통틀어 부른다. 집게류를 포함하기도 한다. 게는 다리에 관절이 있으며 돔은 단단한 껍데기로 덮여 있다. 전 시계에 약 5,000종이 있고, 한국에는 187종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바다를 따라 얕은 물에서 산다. 게는 단백질이 많아서 소화성도 좋고 지방이 적어 담백하다. 필수아미노산이 많이 들어 있어 성장기 어린이에게 좋고 소화성이 좋아서 병의 회복기에 있는 사람이나 허약체질, 노약자에게 매우 좋은 식품이다. 2. 게 구입법 게를 구입할 때는 다리가 뻣뻣하고 단단하게 붙어 있고 냄새가 나지 않으며 배가 단단하고 광택이 나며 살이 꽉 찬 것을 고르는 것이 좋고 들어 보았을 때 무겁고 손으로 눌러 보았을 때 탄력이 있는 것이 좋은 게이다...

1. 고등어란 고등어 또는 참고등어는 고등어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이다. 등 빛이 시퍼렇고 무늬가 선명한 대서양고등어와 다르게 무늬가 비교적 흐릿하며 등에 약간 녹색 기운이 돌고, 대서양 고등어에 없는 부레가 있는 고등어를 영어권 국가에서는 태평양고등어, 일본 고등어, 처브고등어라고도 한다. 먹으면 머리가 좋아진다는 등푸른생선의 일종이다. 고등어는 수온이 10~20℃인 맑은 물에서 살며, 바다의 표층과 중층에 산다. 보통 봄과 여름에는 얕은 곳으로, 가을에는 깊은 곳으로 이동한다. 3~6월경이 산란기며, 가을에 맛이 있다. 고등어는 한 번에 10만~30만개의 알을 품으며, 알은 약 지름 1mm이다. 한반도에는 2~3월경 제주도 성산포 근해에 몰려와 차차 북으로 올라가는데 그 가운데 한 무리는 동해로, 다른..

1. 배 란 배는 배나무 속 나무의 과일로 돌배나무의 재배종인 배나무, 서양 배나무, 산돌배의 재배종인 중국으로 나눠진다. 배나무의 기원지는 중국 서부, 남서부로 추정되며 한국으로 배가 들어온 경로는 요동반도와 백두대간이다. 현재는 과일 재배를 위해 사용되는 배나무는 동양계로 남방형인 한국 배와 북방형인 중국 배 그리고 유럽계인 서양배로 크게 3종류로 구분된다. 우리나라에서는 품종육성을 하려는 노력으로 처음으로 '단배'가 나왔고 '황금배, '원황', '추황배', '만풍배' 등의 품종이 키워졌다. 한국의 배나무는 재래종인 콩배와 함께 가장 널리 재배되는 돌배가 있고 야생종으로 전남 광양의 백운산에 자생하는 백운배, 전북 위봉산의 위봉배, 해남 두륜산의 들배, 남해 용문산의 용문배가 있다. 2. 배의 제철시..

1. 대하란 대하는 큰 새우, 왕새우에 속하는 갑각류의 총칭이며 또 보리새우과에 속하는 종을 대하라고 한다. 큰 새우라는 명칭은 수상새아목에 속하는 대형 갑각류를 가리키는 말로 쓰이기도 한다. 2. 대하 제철시기 대하는 우리나라 즉 대한민국에서 3~4월, 8~11월이 제철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충청남도 홍성군 남당항과 태안군 안면읍 백사장항이 대하 산지로 유명하다. 주로 대하회, 대하 소금구이, 대하 튀김, 대하찜 등으로 요리해서 먹는다. 3. 대하 칼로리 대하는 100g에 93kcal로 비타민 C와 섬유소가 부족하여 이것들이 풍부한 양배추와 같이 먹으면 좋다. 4. 대하 효능 대하는 고단백 저지방 식품으로 다이어트에도 도움이 된다고 한다. 대하는 칼슘과 철분이 함유되어 뼈를 튼튼하게 해줄 뿐만 아니라 골..

1. 굴이란 굴은 9~12월 사이 나오는 제철 식품으로 바다에서 사는 굴과의 연체동물 가운데 먹는 것의 총칭이다. 굴은 익혀서 먹기도 하지만 생으로도 먹는데, 중세 유럽에는 미약으로 알려져 있었다. 굴의 아가미는 음식물을 모아 위에서 소화하도록 하며, 안쪽의 내전근으로 껍질을 여닫는다. 굴은 바위에 붙어살기 때문에 석화(石花)라고도 한다. 조개껍데기 속에는 부드러운 몸체가 있다. 한편 굴은 미국 공익과학센터(CSPI)가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자료를 토대로 열거한 가장 위험한 음식에서 4위를 차지하기도 하였다. 이는 굴이 노로바이러스나 비브리오에 쉽게 오염되기 때문이다. 굴은 가을부터 겨울 때에 영양가가 높고 맛이 좋아 '바다의 우유'라고 불린다. 2. 굴의 효능 굴에는 비타민A, B1, B2,..

1. 옥수수란 옥수수는 페루가 원산지이다. 페루 남부에서 약 10,000년 전 원주민에 의해 처음 경작되었다. 벼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식물이며 높이는 2~3m, 꽃은 암꽃과 수꽃으로 나뉘어 있다. 열매는 7~10월에 익고, 암이삭에 옥수수 낟알이 박혀 있다. 낟알은 쪄서 먹거나 밥, 죽, 국수, 빵 등 다양한 형태로 먹으며, 한국과 일본에서는 주로 사료로 쓰이나 다른 아시아 국가들에서는 중요한 식량자원으로 쓰이기도 한다. 벼, 밀과 함께 세계 3대 화곡류(禾穀類) 식량작물에 속한다. 고온에서 광합성 효율이 높은 C4 식물이기 때문에 한 알에서 수백 배가량 수확할 수도 있다. 반면 벼, 밀은 C3 식물에 속하여 30배 이상 수확이 힘들다. 옥수수는 기온이 높고 습기가 많으며 볕이 잘 쬐는 곳이 가꾸기에 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