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씀바귀란 씀바귀(영어: Ixeridium dentatum 또는 toothed ixeridium)는 쓴맛이 나서 씀바귀라고 부르며, 국화과에 속하며 산과 들의 풀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고 한국·중국·일본 등에 분포한다. 씀바귀는 높이 25~30cm로 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줄기에 달린 것은 잎자루가 없고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톱니가 있고 잎이 뿌리에서 나온 것은 대가 있다. 꽃은 5월에서 7월에 피고 황색이며, 설상화는 보통 5개씩이지만 많은 것도 있다. 수과에 10개의 능선이 있고 관모는 연한 황색이다. 씀바귀는 흰색 꽃이 피는 흰씀바귀(Ixeridium dentatum for. albiflora (Ma kino) H.Hara)가 있다. 2. 씀바귀 제철 시기와 칼로리 시골 논두렁, 들판 등에서..

1. 바지락이란 바지락(영어: Manila clam)은 백합과에 속하는 이매패류 연체동물로, 남시베리아에서 중국에 이르는 태평양 연안에 서식하는 소형 어패류이다. 바지락은 동해안 지역에서는 '빤지락', 인천이나 전라도 지역에서는 '반지락', 황해도 지역에서는 '바스레기', 경남지역에서는 '반지래기'라고 부르기도 한다. 바지락의 형태는 서식지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껍데기는 달걀 모양의 타원형으로 부풀어 오른 모양으로, 표면은 거칠고 크기나 무늬, 색깔, 형태 등이 서식지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고 표면에는 방사상 무늬가 있다. 촉수에는 돌기가 없이 간단하며 이빨이 3개 있다. 조개는 체외수정을 합니다. 그래서 암컷은 알을 만들어 출수관으로 몸 밖 바닷물에 뿌리고, 수컷은 정충(정자)을 만들어 출수관..

1. 쑥이란 쑥(학명: Artemisia indica)은 국화과(菊花科, 학명: Asteraceae, 문화어: 약쑥)에 속하는 다년생초의 하나이다. 쑥은 천제에 거미줄 같은 흰 털이 있고, 뿌리줄기가 옆으로 기면서 자란다. 뿌리에서 나오는 잎은 로제트(rosette)처럼 모여 달리며, 줄기에서 나온 잎은 어긋난다. 잎은 날개깃처럼 깊게 4~8갈래로 갈라져 있으며 향기가 나고 연분홍색의 꽃은 7~9월 무렵 줄기 끝에 두상(頭狀)꽃차례로 무리를 지어 피는데, 하나의 꽃차례가 하나의 꽃처럼 무리를 지어 달린다. 2. 쑥 제철 시기와 칼로리 쑥은 단군신화에 나올 만큼 성인병 예방에 특효가 있는 채소류로 이른 봄에 나오는 어린순으로 국을 끓여 먹어 봄을 느끼기도 하며, 쑥을 볶아 익혀 차로 마시기도 하고 떡이나 ..

1. 냉이란 냉이(학명: Capsella bursa-pastoris, 영어: shepherd's purse)는 세계 각국에 널리 분포하는 배춧과의 두해살이풀로 나생이, 나숭개, 난생이라고도 부른다. 약재(藥材)로 부를 때는 제채(齊菜)라고 부른다. 이른 봄을 대표하는 들나물 가운데 하나로 달고 독이 없어 계절 음식으로 즐겨 먹으며, 독특한 냄새가 난다. 냉이는 거친 땅에서도 잘 자라는 황무지 식물로 5~6월에 꽃이 피고 씨앗을 맺는다. 약재(藥材)로 부를 때는 제채(齊菜)라고 부른다. 냉이는 지방마다 여러 이름으로 불려왔다. 충청도에서는 나상이 나승갱이 나싱이, 전라도에서는 나새 나상구, 경상도에서는 난생이 또는 나수랭이, 황해도에서는 내이, 평안도에서는 냉이 등으로 부른다. 냉이의 어원은 냉이

1. 달래란 달래는 수선화과 부추아과 부추 속의 여러해살이풀로서, 학명은 Allium monanthum이다. 달래는 서늘한 곳에서 잘 자라며 잎은 1~2개고 길이는 10~20cm 정도 된다. 너비는 3~8mm의 선형 또는 넓은 선형으로 9~13 맥이 있다. 달래의 비닐줄기는 넓은 난형이고 길이는 6~10mm로서 외피가 두꺼우며 밑에는 수염뿌리가 있다. 달래꽃은 4월에 잎 사이에서 잎보단 짧은 1개의 꽃줄기가 나와 그 끝에 1~2개가 달리는데, 길이는 4~5mm로서 백색이거나 붉은빛이 돌고 막질이며 난형의 포가 있다. 열매는 삭과로 작고 둥글며 꽃잎은 6개로 긴 타원형 또는 좁은 난형이며 같은 수의 수술보다 길거나 같고, 암술머리는 3개로 갈라진다. 2. 달래 제철 시기 및 칼로리 달래는 봄을 알리는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