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1. 게 란

    게는 갑각류 십각목 가운데 단미 하목에 속하는 생물을 통틀어 부른다. 집게류를 포함하기도 한다. 게는 다리에 관절이 있으며 돔은 단단한 껍데기로 덮여 있다. 전 시계에 약 5,000종이 있고, 한국에는 187종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바다를 따라 얕은 물에서 산다.

    게는 단백질이 많아서 소화성도 좋고 지방이 적어 담백하다. 필수아미노산이 많이 들어 있어 성장기 어린이에게 좋고 소화성이 좋아서 병의 회복기에 있는 사람이나 허약체질, 노약자에게 매우 좋은 식품이다. 

    2. 게 구입법

    게를 구입할 때는 다리가 뻣뻣하고 단단하게 붙어 있고 냄새가 나지 않으며 배가 단단하고 광택이 나며 살이 꽉 찬 것을 고르는 것이 좋고 들어 보았을 때 무겁고 손으로 눌러 보았을 때 탄력이 있는 것이 좋은 게이다. 봄에는 알이 꽉 찬 암꽃게, 가을에는 살이 꽉 찬 수꽃게를 먹어야 한다. 산란기가 지나면 암꽃게는 알이 빠지기 때문에 살이 꽉 찬 수꽃게를 먹는 것이 좋다. 

    게를 살 때는 껍질이 투명하고 속살이 비치는 것은 안 사는 것이 좋다. 탈피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수율이 떨어질 수 있다. 

    3. 게 보관법

    게의 보관온도로는 -20℃~0℃가 좋으니 보관할 경우 팩에 담아 랩으로 싸서 냉동 보관하는 것이 좋다. 게는 해동하는 과정에서 살이 녹아내려 비린내가 날 수도 있고 냉장 보관 시 할 시 살이 녹아 버리기 때문에 냉장 보관보다는 냉동보관을 하는 것이 좋다.

     

    4. 게 손질법 

    꽃게를 손질할 때는 꽃게 피를 먼저 뺀다. 꽃게를 조리할 때 피를 빼지 않으면 비린 맛이 날 수 있다. 피를 빼는 법은 칼로 입을 살짝 찔러 뒤집어 준 후 배를 살짝 누르면 꽃게 피가 나오니 꼭 참고해서 사용해 보길 바란다. 그 후 배꼽을 열어 쭉 짜서 똥을 뺴준다. 그리고 솔로 몸통 껍질과 다리를 깨끗이 문질러 닦고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어 조리에 이용한다. 

     

    5. 게 먹는법

    게는 보통 식초 절임, 게밥, 게 생선 초밥, 게찜 등 여러 가지 요리가 있다. 민물 게는 그대로 기름에 튀겨서 먹기도 하며 신선한 속살을 초간장에 찍어 먹기도 한다.

     

     

    6. 게의 효능

    게의 껍데기에 많이 든 키틴은 체내 지방 축적을 방지하고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약리작용으로 인해 다이어트 식품으로 많이 이용된다. 그리고 키틴과 키토산은 불용성 식이섬유로서 장내 유익균의 먹이가 되어 장의 활동성을 높여주어 변비에 도움을 준다.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낮추는 데 도움을 주고, 체내 면역기능을 높여주는 NK 세포를 활성화하는데 도움을 준다. 게의 함유된 키토산은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고 피부 세포의 재생을 촉진 시켜 준다.

    게는 타우린이 인슐린의 분비를 촉진해서 혈당 상승을 억제해주고 당뇨병 치료와 고혈압, 동맥경화에 도움을 준다. 게는 비만 예방과 성인병에 도움을 주는데 그 이유는 열량이 낮고 다양한 성분이 들어 있고 단백질에 들어있는 로이신, 아르지닌 등 필수 아미노산으로 순수한 단백질이기 때문이다. 또 오메가3 지방산이 많아 뇌 활동도 촉진해 준다. 그리고 오메가3 지방산은 혀로 간 건강, 항우울증, 뼈 건강, 눈 건강과 같은 좋은 효과가 있다.

    7. 게의 부작용

    게는 찬 성질을 가지고 있어 뜨거운 성질을 가진 꿀과 잘 맞지 않는다. 또 게는 식중독균의 번식이 대단히 잘되는 고단백 식품이다. 그래서 감과도 잘 맞지 않는다. 감에는 수렴작용을 하는 타닌 성분이 있어 소화불량을 유발하기 때문에 고단백 식품인 게와는 어울리지 않는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