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1. 굴이란
굴은 9~12월 사이 나오는 제철 식품으로 바다에서 사는 굴과의 연체동물 가운데 먹는 것의 총칭이다. 굴은 익혀서 먹기도 하지만 생으로도 먹는데, 중세 유럽에는 미약으로 알려져 있었다. 굴의 아가미는 음식물을 모아 위에서 소화하도록 하며, 안쪽의 내전근으로 껍질을 여닫는다. 굴은 바위에 붙어살기 때문에 석화(石花)라고도 한다. 조개껍데기 속에는 부드러운 몸체가 있다.
한편 굴은 미국 공익과학센터(CSPI)가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자료를 토대로 열거한 가장 위험한 음식에서 4위를 차지하기도 하였다. 이는 굴이 노로바이러스나 비브리오에 쉽게 오염되기 때문이다.
굴은 가을부터 겨울 때에 영양가가 높고 맛이 좋아 '바다의 우유'라고 불린다.
2. 굴의 효능
굴에는 비타민A, B1, B2, B12, 철분, 동, 망간, 요오드, 인, 칼슘, 아연 등이 많다. 굴에는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다. 옛날부터 빈혈과 간장병 후의 체력회복에 좋은 강장식품으로 여겨져 왔다. 한방에서는 땀을 흘리지 않게 하고 신경쇠약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여기며, 뇌내출혈과 불면증에 좋다고 한다. 굴 껍데기는 간장 및 장 질환과 두통에 가루 내 달여 먹으면 특효가 있다고 한다.
굴은 이러한 비타민과 미네랄 때문에 피로 해소에 도움을 준다고 하며 바다의 우유인 만큼 빈혈도 예방이 된다. 그리고 숙취 해소에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
참굴의 경우 먹을 수 있는 부분 기준 100g당 인이 115mg, 철분이 75mg이다. 굴의 당질의 대부분은 글리코겐인데, 이 성분은 소화 흡수가 잘 되어서 어린이나 노약자, 환자 등에게 부담을 주지 않는 식품으로 권장된다.
3. 굴 구입법
굴을 구입할 때는 살은 패주가 뚜렷하게 서 있고 둥그스름하게 통통하게 부풀어 있는 것이 신선하다.
4. 굴 보관법
굴은 당일에 섭취하는 편이 가장 좋지만 보관할 때는 온도는 1~5℃가 적당하고 바닷물로 껍질을 손질하여 비닐에 굴을 담고 바닷물을 넣은 다음 밀봉하여 스티로폼 박스에 얼음을 채워 놓고 굴을 담은 뒤 냉장고 깊숙이 넣어 보관한다.
굴은 미생물 번식이 잘 돼서 상하기 쉽기 때문에 장기 보관해야 할 때는 굴을 분리 후 손질한 다음 소분해서 소금물을 넣어 지퍼백에 넣어 냉동 보관하면 된다.
5. 굴 손질법
굴의 손질법은 다양한데 생굴을 손질할 때는 연한 소금물에 굴을 담근 후 밀가루를 살짝 푸어 가볍게 헹궈준다. 밀가루로 이물질을 흡착하여 비린내를 잡아준 후, 소금의 삼투압 작용으로 굴이 터지는 것을 막아줘서 굴의 향을 보존해 준다. 소금과 밀가루를 푼 물에 가볍게 헹궈준 후 깨끗한 물로 세척을 해야 하는데 너무 많이 씻으면 굴이 물러지고 향도 다 빠져나가니 2~3번 정도 가볍게 씻어주는 게 좋다. 또 다른 손질법은 무를 간 즙에 굴을 넣어 오물이 흡수되도록 한 후 체에 밭쳐서 물에 2~3회 헹구면 된다.
하프 셀, 즉 반만 껍데기가 있는 굴은 껍데기 조각이 들어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 해야 한다. 하프 셀은 굴 속살을 살짝 들어 흐르는 물에 헹궈 준 후 먹으면 된다.
그리고 우리가 석화로 구워 먹는 굴은 껍데기 채로 물에 담가 살살 흔들면서 세척해 주는 게 좋다. 짠 기를 빼려면 10분 정도 물에 담가놓아야 한다. 일반 가정에서는 껍데기를 제거하기 힘들기 때문에 통째로 쪄서 먹는 게 편하다. 석화는 넓은 쪽 가장자리를 가위로 잘라 주고 칼을 집어넣어 살살 긁으면서 관자를 절단해 주면 굴의 입이 쉽게 벌어진다. 굴의 입이 열리면 속살을 칼로 살살 긁어 꺼내면 된다.
한국에서는 생굴로 많이 먹는다. 물에 살짝 헹구어 초장에 찍어 먹는 것이 일반적이며 굴국밥, 굴구이, 굴튀김, 굴전, 굴 무침 등도 인기 있는 음식이다. 젓갈로 무쳐 먹기도 하는데 이를 어리굴젓이라고 하며 어리굴젓은 충청남도 서산에서 생산된 것이 가장 유명하다.
'YelloCHocola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월 제철음식 배의 모든 것 <효능, 칼로리, 수확시기, 보관법, 손질법, 먹는법> (0) | 2022.09.16 |
---|---|
9월 제철음식 대하 효능 및 손질법, 보관법 (0) | 2022.09.15 |
9월 제철음식 옥수수 효능 및 보관방법 (0) | 2022.09.13 |
9월 제철음식 전복 효능 (0) | 2022.09.11 |
지리학이란(3) (0) | 2022.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