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무란 무(Radish, 학명: Raphanus sativus)는 먹을 수 있는 배춧과의 뿌리채소로 세계 곳곳에서 재배되는 뿌리채소다. 크기와 색상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뉘어 있고, 유럽에서는 로마 제국 시대부터 재배되었으며, 각각의 품종에 따라 어느 계절에나 재배할 수 있다. 동아시아에서 재배되는 무의 길이는 약 20~35 cm이며, 지름은 약 5~10 cm 정도인데, 동아시아에서는 아메리카나 유럽 등지에서 재배되는 무와는 달리 상대적으로 크고 흰색 빛깔을 지닌 무를 재배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굵기와 길이에 따라 조선무(朝鮮-) 또는 왜무(倭-)라고 부른다. 한국에서는 삼국시대에 재배되기 시작했으며, 고려 시대에는 중요한 채소로 여겨졌다. 무는 무우로 불리거나 표기되기도 하지만 이것은 우리나라에서 비..

1. 늙은호박이란 늙은 호박은 맷돌 호박 또는 청둥호박이라고도 불리는데 늙은호박은 한식에서 사용하는 늙어서 겉이 굳고 씨가 잘 여문 호박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겨울 호박으로, 봄에 심어 가을에 수확한다. 늙은 호박은 산후 부기를 제거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어 아기를 낳으면 늙은 호박을 고아 호박 물을 마신다. 2. 늙은 호박 제철 시기와 칼로리, 유사 음식 늙은 호박의 제철 시기는 10~12월이다. 위에 언급했든 우리나라는 봄에 심어 가을에 수확한다. 칼로리는 100g 27kcal로 칼로리가 매우 낮다. 늙은 호박의 유사 음식으로는 단호박이 있다. 단호박은 늙은 호박보다 단맛이 더 싶으며, 겉모양은 짙은 초록을 띠고 있어 늙은 호박과 구분이 된다. 3. 늙은 호박 구입법 늙은 호박을 구입할 때는 크기가 매..

1. 전복이란 전복은 연체동물로 전복목, 전복과(Haliotidae), 전복 속(Haliotis)의 총칭이며, 귀 조개라고도 한다. 전복은 암초가 많은 수역에서 서식하기 때문에 외해의 도시나 육지에서 가까운 암석이 튀어나온 수역으로서 해수가 깨끗하고 갈조류가 많은 곳에서 자란다. 전복은 넓적한 근육성 발이 있어 바위에 붙어 치설로 식물을 갉아 먹으면서 산다. 몸길이는 2~30cm이며, 모양은 긴 타원형이다. 전복의 발은 크고 넓으며, 머리에는 더듬이 한 쌍과 눈이 있다. 전복은 암수딴몸이지만 외부 생식기는 발달하지 못했다. 그러나 생식선이 황백색인 것이 수컷이고 녹색인 것이 암컷이다. 2. 전복 제철 시기와 칼로리 전복은 바다의 명품으로 8월에서 10월 사이가 가장 제철이며 100g당 79kcal이다. ..

1. 해삼이란 해삼류(海蔘類, sea cucumber)는 극피동물문 해삼강(Holothuroidea)에 속하는 해양무척추동물을 두루 일컫는 말이다. 해삼은 옆으로 다니기 때문에 입과 항문은 서로 반대쪽에 있고 이차적으로 좌우대칭이 된 동물이며, 입 주위에 촉수가 있다. 해삼은 이축방사대칭이고 오이 모양이며 완과 가시는 없다. 해삼은 암수한몸으로서 체외수정을 한다. 해삼은 세계적으로 약 1천5백종이 분포하며, 한국에서 생산되는 해삼은 온대산 참해삼인 홍해삼, 청해삼, 흑해삼 등 4과 14종이다. 2. 해삼 제철 시기와 칼로리 해삼은 10월~11월이 제철 시기이며 100g당 15kcl로 칼로리가 매우 낮은 편에 속한다. 3. 해삼 구입법 싱싱한 해삼의 살에는 매우 작은 석회질 뼛조각이 있어 혀가 닿으면 딱딱..

1. 꽁치란 꽁치(영어: Pacific saury 또는 mackerel pike, Cololabis saira)는 꽁치과에 속하는 어류이다. 갈치의 몸길이는 40cm 정도이고 양턱은 다소 돌출되어 새의 부리 같으며 몸은 가늘고 길다. 아래턱이 위턱보다 길며 등지느러미는 10~12줄 정도 되고 그 뒤쪽에 곁 지느러미가 6~7개가 있다. 줄 비늘은 약 120개 정도 된다. 배 쪽은 은색이며 등은 검푸른색이다. 아랫입술은 암컷이 끝이 뾰족하고 수컷은 둥글다. 꽁치의 알은 지름이 2mm 정도 되며, 부착사라 부르는 가느다란 실이 붙어 있어, 알을 낳아 해조류 등에 붙여 놓는다. 꽁치는 한류성 어류로 태평양 연안에서는 10~12월, 우리나라에서는 5~8월 무렵에 산란한다. 2. 꽁치의 제철 시기와 칼로리 꽁치는 ..

1. 홍합이란 홍합(紅蛤, 영어: Korean mussel, hard-shelled mussel)은 담치 목 홍합과에 속하는 조개로 담치, 참담치라고도 불리며 담채, 이패, 해폐라고도 불린다. 한국에서 주로 잡히는 홍합은 학명 Mytilus coruscus이나, 영어의 mussel은 이보다는 넓은 홍합과의 여러 조개를 이른다. 홍합의 모양은 길쭉한 모양으로 손바닥의 1/3만 한 크기이며, 깊이 20m 정도 물속 바위에 붙어산다. 홍합은 다른 것과 다르게 환경이 변해도 잘 자란다. 홍합은 오염된 물을 먹으면 몸속에 오염 물질을 남겨 놓기도 하는데 이런 것 때문에 홍합으로 물이 얼마나 오염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오염된 홍합을 잘못 섭취할 시 탈이 날 수 있다. 2. 홍합 제철 시기와 칼로리 홍합은 우리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