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수박이란 수박(영어: watermelon)은 덩굴에는 거친 털이 있으며 단면은 마름모꼴로 길이는 7m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며 긴 심장 꼴이고 깃 모양으로 3~4개로 깊게 갈라진다. 잎겨드랑이에서 덩굴손이 나와 물체에 휘감긴다. 남아프리카 원산의 한해살이 덩굴식물, 또는 그 열매를 말한다. 서과(西瓜) 또는 수과(水瓜)라고도 한다. 열매의 속살을 식용하는데, 붉거나 노란색을 띠며, 달고, 씨가 있는 수박이 대부분이다. 요즘엔 씨 없는 수박도 나오며, 여름철 과일이다. 수박은 암수한그루며 5 ~ 10마디마다 암꽃이 달리며, 수꽃은 품종에 따라 양성화가 달린다. 열매는 개화 후 약 30일이면 익는다. 열매는 400 ~ 1700개, 보통 700개 정도의 종자가 있다.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품종은 대략 둥..

1. 도라지란 도라지(학명: Platycodon grandiflorus)는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산이나 들에서 흔히 자란다. 높이는 40~100센티미터이고 뿌리가 굵으며 줄기는 하나로 나거나 몇 줄기 나오고, 원줄기를 자르면 백색 즙액이 나온다. 잎은 어긋나거나 마주나며 길이가 5~12센티미터의 장난형으로 양 끝이 좁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표면은 녹색이나 뒷면은 회청색이고 잎자루는 거의 없다. 도라지(학명: Platycodon grandiflorus)는 초롱꽃과 도라지 속(Platycodon)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길경(桔梗)이라고도 부르며, 또 다른 한자 이름으로 화상모(和尙帽), 명엽채(明葉菜), 도랍기(道拉基)라고도 한다. 숙근초이며, 꽃말은 변치 않는 사랑, 성실, 유순함이다. 꽃은..

1. 토마토란 토마토 열매는 라이코펜에 의해 붉은색을 띠며 식용 목적으로 이용된다. 토마토(문화어: 도마도, 일년감, 영어: Tomato)는 가지목 가짓과의 식물, 또는 그 열매를 말한다. 라틴아메리카가 원산지인 한해살이풀로, 키는 1~3m에 노란색 꽃이 핀다. 토마토를 뜻하는 이탈리아어 보모도로(pomodoro)는 '황금 사과'라는 뜻인데 그리스 신화 중 헤스페리데스 동산에서 자란다는 바로 그 황금 사과를 말했던 것이라고 추측된다. 이는 토마토의 원산지 남아메리카를 에덴동산이 있던 곳이라고 믿었던 것과도 관련이 있다. 영어 Tomato와 스페인어 tomate는 아스텍어 tomatl에서 유래됐다. 나무에서 자라지 않는 일년생 채소라는 의미에서 일년감이라고도 불리며, 한자 이름인 남만 시로도 알려져 있다...

1. 복분자란 복분자딸기(覆盆子--)는 장미과의 낙엽 관목이다. 열매를 복분자라 한다. 다 자라도 대개 3m를 넘지 않으며, 5월에서 6월 무렵에 꽃이 피고 7월에서 8월경에는 붉게 과실을 맺는데, 나중에는 흑색으로 변한다. 열매로 과실주(복분자주)를 만들어 먹는다. 품종으로 청복분자딸기(Rubus coreanus for. concolor (Nakai) T.B.Lee)가 있다. 복분자주(覆盆子酒)는 복분자를 증류식 소주에 첨가하여 향을 입혀 만든 희석식 담금주이자 과실주로 서양식 리큐르 개념에 가깝다. 2. 복분자 제철 시기 및 칼로리 복분자를 먹고 요강을 엎었다고 복분자(覆盆子)라고 불리게 된 복분자의 제철 시기는 6월에서 8월 사이가 제철 시기이다. 저열량, 저지방 식품인 복분자의 칼로리는 100g당..

1. 감자란 감자(정체자: 甘藷, 영어: potato)는 추운 지역이나 4,000m 고산지대에서도 재배가 가능하고, 3개월이라는 단기간 내에 수확이 가능하며 양분을 땅속에 축적하므로 전란에도 피해가 적다. 원산지는 남미 안데스 지역인 페루와 북부 볼리비아로 알려져 있다. 콜럼버스의 탐험 이후 16세기 중후반에 스페인 정복자들에 의해 유럽에 전해 내려왔으나 아일랜드를 제외한 유럽에서 식품으로 정착한 시기는 18세기 후반이다. 그전에는 관상용, 사료용, 소수의 가난한 서민들의 식품이었을 뿐이었다. 감자는 가짓과의 여러해살이 식물로, 세계에서 네 번째로 많이 생산되는 농작물이다. 고구마, 옥수수와 함께 대표적인 구황작물(救荒作物)로 인류를 기아의 공포에서 구제한 작물에 해당한다. 감자는 현재 재배 식물 가운데..

1. 다슬기란 다슬기(Semisulcospira libertina, 중세 한국어: 배틀죠개, 문화어: 토질골뱅이)는 소래고둥·민물고둥·고딩이·골뱅이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며 다슬기과의 연체동물로 물이 깊고 물살이 센 강의 바위틈에 무리를 지어 서식한다. 큰 것은 높이가 60mm에 달하는 것도 있고 껍데기는 높이 약 30mm, 지름 약 12mm가 보통이며, 나선형의 꼭대기 부분이 변형되어 최후의 3층 정도로 남아 있는 것도 있다. 다슬기의 옛말은 '배틀조개'로, 충청도에서는 올갱이,도슬비, 강원도에서는 꼴팽이, 경남에서는 민물고동, 경북에서는 고디, 전라도에서는 대사리 등등으로 불리고 충청지역에서는 다슬기를 이용한 올갱이국이 유명하며, 괴산 지역에서는 관련 축제가 열린다. 흔히 우렁이와 착각하여, 동의보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