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대하란 대하는 큰 새우, 왕새우에 속하는 갑각류의 총칭이며 또 보리새우과에 속하는 종을 대하라고 한다. 큰 새우라는 명칭은 수상새아목에 속하는 대형 갑각류를 가리키는 말로 쓰이기도 한다. 2. 대하 제철시기 대하는 우리나라 즉 대한민국에서 3~4월, 8~11월이 제철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충청남도 홍성군 남당항과 태안군 안면읍 백사장항이 대하 산지로 유명하다. 주로 대하회, 대하 소금구이, 대하 튀김, 대하찜 등으로 요리해서 먹는다. 3. 대하 칼로리 대하는 100g에 93kcal로 비타민 C와 섬유소가 부족하여 이것들이 풍부한 양배추와 같이 먹으면 좋다. 4. 대하 효능 대하는 고단백 저지방 식품으로 다이어트에도 도움이 된다고 한다. 대하는 칼슘과 철분이 함유되어 뼈를 튼튼하게 해줄 뿐만 아니라 골..

1. 굴이란 굴은 9~12월 사이 나오는 제철 식품으로 바다에서 사는 굴과의 연체동물 가운데 먹는 것의 총칭이다. 굴은 익혀서 먹기도 하지만 생으로도 먹는데, 중세 유럽에는 미약으로 알려져 있었다. 굴의 아가미는 음식물을 모아 위에서 소화하도록 하며, 안쪽의 내전근으로 껍질을 여닫는다. 굴은 바위에 붙어살기 때문에 석화(石花)라고도 한다. 조개껍데기 속에는 부드러운 몸체가 있다. 한편 굴은 미국 공익과학센터(CSPI)가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자료를 토대로 열거한 가장 위험한 음식에서 4위를 차지하기도 하였다. 이는 굴이 노로바이러스나 비브리오에 쉽게 오염되기 때문이다. 굴은 가을부터 겨울 때에 영양가가 높고 맛이 좋아 '바다의 우유'라고 불린다. 2. 굴의 효능 굴에는 비타민A, B1, B2,..

1. 옥수수란 옥수수는 페루가 원산지이다. 페루 남부에서 약 10,000년 전 원주민에 의해 처음 경작되었다. 벼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식물이며 높이는 2~3m, 꽃은 암꽃과 수꽃으로 나뉘어 있다. 열매는 7~10월에 익고, 암이삭에 옥수수 낟알이 박혀 있다. 낟알은 쪄서 먹거나 밥, 죽, 국수, 빵 등 다양한 형태로 먹으며, 한국과 일본에서는 주로 사료로 쓰이나 다른 아시아 국가들에서는 중요한 식량자원으로 쓰이기도 한다. 벼, 밀과 함께 세계 3대 화곡류(禾穀類) 식량작물에 속한다. 고온에서 광합성 효율이 높은 C4 식물이기 때문에 한 알에서 수백 배가량 수확할 수도 있다. 반면 벼, 밀은 C3 식물에 속하여 30배 이상 수확이 힘들다. 옥수수는 기온이 높고 습기가 많으며 볕이 잘 쬐는 곳이 가꾸기에 알..

1. 전복이란 전복의 효능은 아미노산 풍부, 원기 회복 도움, 동맥경화, 고혈압 등 혈관질환 예방, 아르지닌 성분으로 지방을 분해, 체중 감량에 도움이 된다. 밀 전복의 껍질을 말려 가루로 만든 것을 석결명이라고 하는데 눈을 보호해주는 효능이 있어 한약재로 쓰인다. 전복(全鰒, abalone)은 전복 목, 전복과(Haliotidae), 전복 속(Haliotis)에 속하는 연체동물의 총칭이다. 귀 조개라고도 한다. 전복은 넓적한 근육성 발이 있어 바위에 붙어 치설로 식물을 갉아 먹는다. 껍데기 길이 1cm 이상으로 크다. 몸길이는 2~30cm이며, 모양은 긴 타원형이다. 발은 크고 넓으며, 머리에는 한 쌍의 더듬이와 눈이 있다. 암수딴몸이지만 외부 생식기는 발달하지 못했다. 그러나 생식선(生殖腺)이 황백색..

지리학이 발달한 미국, 영국, 독일과 같은 나라에서는 자연지리학을 지질학과 유사한 의미로 사용하기도 하며 지구과학의 한 분야 혹은 자연과학의 한 분야로 다루어졌다. 자연지리학은 말 그대로 자연에 대한 지리적 내용을 다루는 분야이다. 자연과 환경의 구성요소, 상호작용, 공간적 분포에 대해 탐구하는 분야이다. 자연지리학은 경관생태학, 고지리학, 기후학, 기상학, 빙하학, 생물지리학, 수문학, 수로학, 제4기학, 지형학, 측지학, 토양학, 해안 지리학, 해양학, 환경자원관리와 같이 다양하고 넓은 분야로 분류 할 수 있다. 경관생태학은 환경에서 생태학적 과정과 특정 생태계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기후학, 기상학은 각각 기상, 기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기후가 기상 현상의 평균이라는 것이 차이다. 기후학(氣..

지역지리학, 또는 지지(地誌)는 규모에 상관없이 지구상의 지역을 연구하는 학문이고 지역을 종합적으로 보는 분야이다. 지역지리학의 목적은 자연적, 인문적 요소를 이루는 지역을 이해하고 정의하는 것이다. 지리적 과학의 한 방식으로 여겨지지도 한다. 지역구분(Regionalisation)도 지역지리학의 관심 분야이다. 대표적인 분야에는 한국 지리, 유럽 지리 등이 있다. 지리정보학은 1950년대 이후로 침체기를 겪었던 북미의 지리학과에서 이런 경향이 두드러졌다. 지리정보학은 공간분석과 연관된 다양한 분야를 포함한다. 이 분야에는 지도학, 원격탐사, GIS, GPS가 있다. 1950년대 중반의 계량 혁명 이후에 새롭게 떠오른 분야이다. 지도학, 지형학에서 쓰인 공간과 연관된 기술과 컴퓨터에 대한 응용을 포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