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학(分類學, 영어: taxonomy) 또는 생물 분류학은 지구상에 사는 생물의 계통과 종속을 특정 기준에 따라 나누어 정리하는 생물학의 한 분야이다. 분류학은 지구상에 현존하는 모든 생물체를 대상으로 하고 이 모든 생물체에 대한 정보 수집을 통하여 그들의 계보 역사의 재구성하며 생물학 관련 세부 분야, 예컨대 생물 환경학, 유전학의 조직 혹은 분류체계 설정하고 생물체에 관한 진화 과정 및 관련 학의 도움을 빌려 그의 원인 추적하며 관련 학문, 예컨대 생지질학, 생화학에 필요한 정보 제공과 위의 분류체계 설정을 통하여 실제 생태계에서 필요로 하는 설계에 기여로 추구하는 목적은 크게 다음과 같이 간추려 볼 수 있다. 린네가 착안한 분류법의 핵심은 생물의 종과 속을 구분함과 더불어 이들의 소속 관계를 체계..

척추동물의 신경계는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 두 부류로 나뉜다. 신경계는 체내에서 가장 복잡한 시스템이고, 대부분의 복잡성은 뇌에 있다. 사람의 유전자는 약 2만 개에서 2만 5천 개로 추정하고 있는데 그중 대부분이 뇌에서 특이하게 나타난다. 시냅스의 연결 구조는 평생 계속해서 변화하며(신경 가소성), 그 결과 기능도 변화한다. 인간의 뇌는 천억 개의 뉴런과 백조 개의 시냅스로 이루어져 있다. 서로 구별할 수 있는 하위 구조가 수천 개는 되고, 시냅스 네트워크는 이제 막 밝혀지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신경계의 복잡성을 이해하는 것은 엄청난 과제이다. 또한 신경의 진화과정에 대해서는 많은 부분이 연구되어 있으며, 현재의 복잡성을 형성하는 진화의 속도 연구 역시 많이 진행되고 있다. 세포 신경과학에서는 뉴런이 ..

신경계 연구의 역사는 고대 이집트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기원전 18세기의 필사본에 의하면 이집트인이 뇌 손상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처음에 이집트인들은 뇌를 단순히 '두개골을 채우는 무언가'로 여겼다. 이집트 중왕국 시대에 이르러서는 미라를 만들면서 뇌를 제거하는 것이 관례가 되었다. 이 시기에 두통을 완화하거나 정신 질환을 치료하려는 목적 혹은 두개골 내압을 낮추기 위하여 두부 절개술(두개골에 구멍을 내는 외과술)이 수행되었다. 두부 절개술이 행해졌다는 증거는 신석기 시대 지층에서도 발견되며 전 세계적으로 널리 퍼져 있다. 이 시기에는 인지 기능이 심장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았다. 헤로도토스는 미라화의 첫 단계가 "구부러진 철 조각으로 콧구멍을 통해 뇌를 끄집어내고 머리뼈의 빈 곳을 약품으로 ..

진화(evolution)는 포괄적으로는 생명의 변화를 말한다. 과거와 현재의 생명체가 어떻게 다른가를 설명하고 왜 달라졌는가를 설명하는 분야가 진화론이라고 할 수 있다. 진화는 발전이 아닌 다양성의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 생물이 진화했다(evolve)는 것은, 생물이 이전보다 나아졌다(Progress)는 뜻이 아니다. (생물이 지금까지 자손을 남겼다 + 과거의 조상과는 달라졌다.)라고 봐야 한다. 이 과정에서 기능의 추가는 물론 삭제도 일어나며, 복잡해지는 과정도 있으나 간단해지는 과정도 존재한다. 또 다른 대표적인 오해는 진화했다는 표현이 대표적인데 생물은 진화를 선택하지 않는다. 자연이 선택하는 것이지, 각 개체, 혹은 종이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어떤 종이 어떻게 진화했다는 말은 ..

분자생물학에서 겔 전기영동법은 겔 메트릭스에 전류를 흘려보내 DNA, RNA, 단백질 등을 분리하는 실험 기법이다. DNA, RNA 그리고 단백질들이 전하를 띠는 성질을 이용 전기장 내에서 각각을 분리하게 시키는 것이 기본 원리이다. 아가 로즈(agarose)를 겔로 사용했을 경우에는 DNA와 RNA가 크기에 따라 나뉘게 된다. 단백질의 경우는 마찬가지로 크기에 따라 분리가 되지만 겔로 SDS-PAGE를 사용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또 다른 단백질 분리에는 단백질의 크기와 전하를 모두 이용해 분리하는 2D-gel electrophoresis 가 있다. 마이크로 어레이(Micro Array)에서 DNA 마이크로 어레이는 슬라이드 글라스 따위의 판에 단일 가닥의 DNA 조각을 하나하나 배열해 놓는 것이다. 그..

분자생물학은 분자 수준에서의 생명 현상을 이해하고 그것이 우리가 눈으로 보는 생명 현상과 어떻게 연결되는가를 규명하는 학문이다. 1953년 제임스 왓슨과 크릭이 DNA의 이중 나선을 발견한 시점에서 분자생물학이 탄생했다고 볼 수 있으며. 이후 분자생물학은 생화학과 유전학의 영역을 흡수해가며 급격하게 성장해왔다. 세포 내 또는 세포 간에 이루어지는 여러 가지 형태의 상호 작용을 해석하는 과정을 기본으로 한다. 현대 생물학은 기본적으로 분자생물학을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현재는 인간유전체 분석사업(human genome project)이 끝나고, 이 정보를 근거로 해 다양한 접근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대부분의 분자생물학 연구는 정량분석을 거친다. 최근 컴퓨터 공학의 도입으로 개척된 생체정보학 등 컴퓨터를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