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이어서 중국의 지리학으로는 유안, 배수, 가탐, 심괄, 범성대, 주달관, 서하객과 같은 중국인 지리학자는 중요한 문헌을 남겼다. 3세기 이후로 지리학적 연구와 지리학적 문헌 집필에 대한 중국의 이론은 13세기까지 동시대의 유럽에 비해 훨씬 세밀했다.
중국은 서양과의 지리적 이격으로 인해 천원지방 사상으로 대표되는 독자적 지리관을 발달시켜 나가게 된다. 결국, 지리적 개념과 연구 방법은 서양과 상당한 차이가 나타나게 된다. 그렇지만 17세기에는 서양식 지리학적 이론이 중국에서 도입되었다.
현대 지리학의 기초는 주로 서구에서 유래한 것이다. 지리학자는 현상, 과정, 사물의 시공간적 분포를 다룬다. 여기에 인간과 그들이 사는 환경 간의 상호작용에 대해서도 연구한다. 서구에서는 전통적으로, 지리학자는 지도학자, 지명이나 수를 연구하는 사람으로 여겨졌다. 많은 지리학자가 지명을 다루는 학문이나 지도학을 아는 사람이었어도 이 분야는 지리학자의 주된 연구 분야가 아니다. 공간과 장소는 다양한 주제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리학은 다른 학문과의 연관성이 크다. 지리학적 접근의 이러한 특성은 상태와 그것의 공간적 패턴 사이의 상관관계를 얼마나 깊게 따지는가에 따라 달라진다.
지리학을 분류하면 계통지리학과 지역지리학으로 분류할 수 있다. 지리학을 분류할 때 여러 가지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으나 가장 대표적인 분류 방법으로 접근 방법 또는 연구 방법에 따른 분류가 사용된다. 계통지리학은 특정 주제에 대해 지리적으로 접근하여 일반적인 원리를 도출하는 연구 방법을 통해 이루어진다. 지역지리학은 특정 지역을 지리적으로 접근하여 내용을 서술하고 연구하는 방법을 통해 이루어진다. 계통지리학은 그 주제의 성격에 따라 인문지리학과 자연지리학으로 구분한다.
인문지리학은 인간 활동의 공간적 조직, 인간과 환경 간의 연관성을 탐구하는 분야이다. 인간에 의하여 공간조직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탐구하고, 어떤 형태인지를 탐구한다. 공간의 의미에 관해서도 설명하는 분야이다.
인문지리학은 경제지리학, 관광 지리학, 교통지리학, 도시지리학, 문화지리학, 발전지리학, 보건 지리학, 사회지리학, 시간 지리학, 역사지리학, 인구지리학, 인구론, 정치지리학, 지정학, 종교 지리학으로 다양하고 넓은 분야로 구분할 수 있다.
시간이 지나면서 행동주의 지리학, 여성주의 지리학, 문화이론, 지리철학과 같은 분야도 생겨났다.
종교 지리학은 종교적 신념에 지리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다루며, 정치지리학에서는 특정 장소의 사람들이 정치적인 모임을 어떻게 형성했고, 이들이 어떤 영향을 주고받는지 연구한다. 이 중 지정학은 지리가 국제 정세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정치지리학은 인문지리학의 한 분야이다. 과거의 정치지리학은 국가의 성쇠를 지리학적 환경 이론 관점에서 논한 것이며, 지정학과 깊은 관계에 있었다. 시작점은 독일의 지리학자인 프리드리히 라첼이다.
지정학(地政學, 영어: geopolitics)은 지리적인 위치 관계가 정치, 국제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시간 지리학에서는 어떤 사건의 시간과 공간적인 측면을 다룬다. 역사지리학은 과거의 지리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역사지리학(歷史地理學)은 공간을 연구하는 지리학으로 과거의 지역적 공간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 역사지리학은 자연지리학과 인문지리학으로 구분한다. 역사지리학에서는 문헌적 자료의 성질에 따라 선사 지리학과 협의의 역사지리학 구분이 달라진다. 크게 역사시대의 환경과 관계를 연구하는 ‘역사지리학 통론’, 역사시대 지역성에 대해 연구를 하는 ‘역사지리학 특론’이 있다.
사회지리학은 사회 현상과 이 현상의 공간적인 요소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이고, 보건 지리학은 보건에 지리학적 지식을 응용한 학문이다.
발전지리학은 거주지의 삶의 질, 삶의 기준을 탐구하는 학문이다.
인구지리학과 인구론은 인구의 분포, 구성, 이주가 장소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연구한다. 인구지리학(Population geography)은 인구분포·인구구성·인구증감 등 문제를 지역적으로 연구하는, 인문지리학의 한 분야이며 인구론(人口論, 영어: An Essay on the Principle of Population)은 경제학책이며 영국 고전학파 경제학자 토머스 로버트 맬서스의 저서이다.
도시지리학은 건물, 기반 시설이 밀집한 지역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도시지리학(都市地理學, urban geography)은 도시의 역사적 발전 과정, 도시의 공간적 구조, 도시를 둘러싸고 있는 지역과의 상호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교통지리학은 인간의 관심 대상의 움직임, 연결을 연구하는 경제지리학의 분과이다.
문화지리학은 문화적 산물, 규범과 이들의 다양성과 이들의 공간에 대한 연관성을 탐구하는 학문이며 문화를 연구 대상으로 하는 지리학 분야이다.
관광 지리학은 인간의 관심 대상의 움직임, 연결을 연구하는 경제지리학의 분과이다.
경제지리학은 경제적 활동의 위치, 분포, 공간적 조직을 탐구한다. 경제지리학은 다른 수많은 주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을 취해왔는데, 여기에는 산업의 입지, 집적의 경제, 교통, 국제 무역, 개발, 부동산, 젠트리피케이션, 민족 경제학, 젠더 경제학, 주변부 이론, 도시경제학, 환경과 경제 간의 관계, 세계화를 포함한다.
지리 철학은 사람들이 인식하고 떠올리는 세계를 연구하는 학문이며, 여성주의 지리학은 여성주의를 환경, 사회, 지리적 공간에 접목하게 시킨 학문이다. 또 행동주의 지리학은 인간의 행동을 독자적으로 보는 시각이다. 인간과 장소를 연계시켜 보는 시각과 대비된다. 또 문화이론은 문화를 특정 시각에서 설명하려는 이론이다. 문화이론 (Culture theory)이란 문화 사회학이나 문화 연구와 다르게 활동적이거나 또는 과학적 용어로 문화의 개념을 찾아서 정의하려고 시도하는 비교 인류학과 상징학의 분야이다.